18모아(18moa)  
코인&주식
분류 코인

무역협상 기대 반영…S&P500·다우 6일째 랠리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무역협상 기대 반영…S&P500·다우 6일째 랠리

14bb0378f8eacbd78fc50e12bcdbf339_1746091497_4539.jpg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이 주요국과 무역 협상을 순조롭게 진행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0.03포인트(0.75%) 오른 4만527.6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2.08포인트(0.58%) 뛴 5560.83, 나스닥종합지수는 95.18포인트(0.55%) 상승한 1만7461.32에 장을 마쳤다.



이날 S&P500과 다우지수는 6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다. 나스닥지수는 전날 약보합 이후 다시 강세로 방향을 틀었다.



미국과 주요 교역국의 무역 협상이 원활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경제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다음 몇 주간 18개의 중요한 무역 관계를 맺을 것"이라며 "중국은 제쳐두고 17개는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이 협상에 가장 적극적이며 한국과도 협상 윤곽이 드러나고 있고 일본과도 상당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그는 부연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무역 합의를 마친 국가가 있다며 상대국의 총리와 의회의 승인만 남았다고 밝혔다. 해당국이 어디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무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나올 때까진 다른 문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며 "투자자들이 무역 협상에서 진전을 기다리는 동안 S&P500은 5100~5700 사이를 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기지표는 악화 흐름을 이어갔다. 미 콘퍼런스보드(CB)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신뢰지수는 86으로 집계됐다. 전월 93.9보다 7.9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4월 기대지수는 전월 대비 12.5포인트 급락한 54.4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10월 후 13년 만에 최저치다.



미국의 3월 상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앞두고 기업들이 선주문에 나선 결과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상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620억달러로 집계됐다. 전월(1478억달러)보다 9.6% 늘었다.



로스앤젤레스 항만청장인 진 세로카는 "아시아 지역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자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주 물동량은 지난해 대비 35% 남짓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관세 부과로 여러 주요 미국 소매업체가 중국발 화물 운송을 전면 중단하면서 물동량이 급감했다"고 말했다.



미국의 지난달 구인 건수도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3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를 보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구인 건수는 719만2000건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이며 시장 전망치인 748만건도 밑돌았다.



울프리서치의 크리스 세닉 수석 투자 전략가는 "경제가 실시간으로 약해지고 있고 CEO 신뢰도가 떨어지는 데다 관세 정책 여파로 기업 투자도 중단된 상태"라며 "앞으로 비농업 고용 보고서도 약해지면 이는 증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였다. 1% 이상 오른 업종은 없었다.



거대 기술기업들은 보합권에서 혼조를 보였고 테슬라만 2% 이상 올랐다. 아마존은 제품 가격 옆에 관세 비용을 표기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항의 전화를 받은 뒤 없던 일로 했다. 백악관도 공식 논평에서 아마존의 이같은 방안을 두고 "적대적이며 정치적 행동"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아마존의 주가는 2% 넘게 떨어졌지만 끝내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약보합을 기록했다. GM은 실적이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관세 여파를 고려해 연간 가이던스를 재검토하고 자사주의 추가 매입 계획을 일시 보류한다고 밝히면서 투자심리를 눌렀다.



코카콜라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1분기 실적에 강보합을 기록했다. 코카콜라는 관세 불확실성에도 연간 가이던스를 그대로 유지했다. 화이자는 수익이 개선되면서 3% 이상 뛰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미 중앙은행(Fed)가 6월 말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35.1%로 전날 마감 무렵과 같았다. 0.25%포인트 인하 확률은 60.2%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8포인트(3.90%) 밀린 24.17을 기록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수다방



Corporate name: 18moa, Inc. The design and all content of this site are protected under copyright law and may not be replicated or misappropriated without authorization. (본 18모아 사이트의 디자인 및 모든 저작물은 법적 권리에 의해 보호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18모아(18moa) All rights reserved.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