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이슈' 피로…협상 진전 시사에도 혼조세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조회 22
본문
'관세 이슈' 피로…협상 진전 시사에도 혼조세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관세 이슈에 대한 피로감을 드러내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성금요일' 휴장을 하루 앞두고 상대적으로 거래도 활발하지 않았다.
미 행정부가 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을 내놓은 것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에게 해임 압박을 가한 것도 시장을 크게 움직이지는 못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527.16포인트(1.33%) 하락한 39,142.23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00포인트(0.13%) 오른 5,282.70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0.71포인트(0.13%) 내린 16,286.4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 행정부는 관세 전쟁의 여파를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못브이었다. 백악관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관세 정책에 관한 새로운 내용을 발표하진 않았고, 일본 및 멕시코와의 협상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어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며 "마찬가지로 (어제) 일본 최고위 무역대표부 대표들도 만났다"고 말했다.
반면 자신의 뜻대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에 대해 선을 그은 파월 의장에 대해서는 해임할 수 있다고 재차 압박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공개 발언에서 관세로 인플레이션 상승이 우려된다며 당장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은 트럼프가 취임 후에도 계속 비공개회의로 파월 축출을 논의해왔으며 차기 의장으로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 같은 소식들이 전해진 뒤에도 시장에선 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 관세 불확실성으로 지친 투자자들은 '성금요일' 연휴를 앞두고 쉬어가는 분위기 속에서 개별 종목 장세가 연출됐다.
미국 최대 민간 의료보험 기업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22% 넘게 폭락했다.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에 못 미친 데다 연간 실적 가이던스도 대폭 하향한 여파다.
엔비디아는 중국으로의 H20칩 수출 제한 여파가 이어지며 이날도 3%가량 하락했다.
넷플릭스는 장 마감 후 1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고 발표해 시간외 거래에서 4% 넘게 상승하고 있다.
알파벳은 자회사 구글이 온라인 광고 기술을 불법적으로 독점했다고 미국 연방 법원이 판결하면서 주가가 1%가량 밀렸다.
미국 자동차 대여 회사 허츠는 미국 헤지펀드 퍼싱스퀘어캐피털이 지분율을 4.1%까지 높였다는 소식에 전날 50% 이상 치솟은 데 이어 이날도 44% 폭등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와 기술,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했다. 필수소비재와 에너지는 2% 넘게 뛰었고 부동산과 유틸리티도 1%대 상승률을 보였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인플레이션 둔화와 통화정책 전이 강도를 반영해 3대 정책금리를 각각 25bp 인하했다. 다만 통화정책 기조에 관해 성명에서 '제약적'이라는 표현은 삭제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4.1%로 올라갔다. 50bp 인하 확률은 전날 마감 무렵의 9.7%에서 6.0%까지 내려갔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99포인트(9.16%) 내린 29.65를 기록했다.
관련자료
-
다음